지난 해 집에서 떨어트린 후 전면카메라가 나간 아이폰 SE2를 꾸역꾸역 사용하다가 최근 아이폰 13 프로로 기변했습니다.
사실 SE2의 APU도 매우 좋아서 실사용 속도 측면에서는 부족함이 없었는데요, 아무래도 전면 카메라도 안되는데다 후면 카메라 마저 화질이 별로인 부분은 불편하긴 했습니다.
물론 사용자인 저보다는 주 피사체인 와이파이님이 가장 불만인 부분이 카메라였는데요, 13프로로 교체한 뒤로는 화질에 매우 만족하고 있습니다.
10년이 더 넘은 학생 시절에는 필름 카메라부터, DSLR, 미러리스 등 기종을 가리지 않고 이것저것 사용해본 경험이 있는데요,
이 때만 해도 똑딱이 카메라는 물리적인 한계로 인해 화질도, 표현력도 상대적으로 열세였습니다.
현대의 아이폰 및 갤럭시에 사용되는 이미지 센서의 사이즈는 당시의 똑딱이에 사용되던 이미지센서와 크게 차이가 없는데요,
때문에 스마트폰 카메라 화질의 물리적 한계도 명확히 존재합니다.
물론 흘러간 세월만큼 이미지센서 자체의 엄청난 개선도 있었지만, 개인적으로는 무엇보다 현재 스마트폰 사진의 발전의 대부분은 소프트웨어의 개선에 기인한다고 생각합니다.
인물사진 아웃포커싱, 영화모드 실시간 포커스 이동 등이 대표적인 예시며, 이 중 HDR기능 또한 소프트웨어적 처리 기술의 발전에 따른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HDR(High Dynamic Range)
사실 HDR은 예전부터 존재하던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간단히 정의하면, 카메라가 표현할 수 있는 밝기의 최소-최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른 밝기의 사진 여러장을 촬영한 뒤 한 장으로 압축하여, 한 장 내에서 명암 Range를 극대화하여 사실적인 사진을 만드는 기술입니다.
위 그림을 통해 개념적으로 HDR을 이해해보겠습니다. 제아무리 최근의 이미지 센서가 발전했다 하더라도 사람의 눈은 상대적으로 생각보다 그 성능이 더 뛰어납니다.
실제로 우리 눈으로 보는 풍경을 상상해보겠습니다.
- 눈으로 보는 풍경의 밝기가 0~100이라고 하면, 실제 카메라의 이미지센서가 담을 수 있는 밝기의 범위는 0~40인 상태입니다. 즉 카메라가 0~40만을 촬영하게 되면 40~100에 해당하는 실제 풍경은 사진 상에서 모두 최대 밝기로 인식되어 사진이 밝게 떠버리는 상황이 됩니다.
- 반대로 카메라가 60~100을 촬영하게 되면 0~60까지의 풍경은 모두 최하 밝기로 인식되어 사진이 어둡게 처리되어버립니다.
- 반면 카메라로 30~70을 촬영하면 위의 두 케이스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괜찮은 사진을 얻을 수는 있겠지만, 암부와 명부의 디테일은 놓치게 됩니다.
위 세가지 상황을 역광에서 촬영하는 인물사진이라고 가정하면, 1번의 경우 인물의 디테일은 살릴 수 있지만 배경은 모두 하얗게 떠버린 상황일 것입니다.
반면 2번의 경우 밝은 부분의 디테일을 살려 하늘의 구름 모양은 살아있을지언정 인물은 어둡게 처리되어버릴 것입니다.
3번의 경우 인물과 배경을 어느정도는 보이겠지만, 둘다 조금씩만 보여 얼굴은 잘 안보이고, 구름도 덜 보이는 상태가 되어 이도저도 아닌 사진이 될 확률이 높습니다.
따라서 카메라를 통해서는 실제 인물과 배경을 다 담아내는 일이 쉽지 않습니다.
이를 극복하기위해 위의 그림처럼 동일한 구도에서 다른 범위 밝기의 사진을 여러장 촬영한 후 이를 한 장으로 합하여 실제와 유사한 범위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아이폰 13 Pro로 촬영한 파리 사진인데요, 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노을녘 하늘의 태양빛을 마주하고 촬영했음에도 불구하고 거리의 건물과 하늘의 구름 모두 디테일이 살아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에펠탑과 몽파르나스 타워가 희미한 것은 카메라 화질의 문제보다도 스모그가 심했던 당일의 상태 때문입니다.
함께보면 좋은 글
2021.12.29 - [분류 전체보기] - 아이폰 왜 자꾸 카툭튀가 심해질까
아이폰 왜 자꾸 카툭튀가 심해질까
목차 카툭튀의 시작 센서크기와 조리개 그리고 초점거리 -센서크기 -조리개 -초점거리 아이폰 및 갤럭시 카메라 스펙 결론 카툭튀의 시작 불과 몇년 전만 하더라도 전/후면 카메라 하나에 후면
coicoitech.tistory.com
2021.12.28 - [분류 전체보기] - 아이폰은 카메라를 대체한걸까 - 이미지 센서와 화질
아이폰은 카메라를 대체한걸까 - 이미지 센서와 화질
목차 서론 본론 -화소(Pixel)와 화질의 이해 -해상도의 이해 -아이폰이 카메라르 대체하는가 결론 서론 2000년대 초반, 20여년 전까지만해도 DSLR을 거쳐 미러리스까지 전세계는 새로나온 디지털 카
coicoitech.tistory.com